심혈관 질환
건강정보
심혈관 질환
 건강정보 심혈관 질환 고혈압과 합병증
고협압과 합병증
본 자료는 삼성혈관질환의 원인을 캐보면 대부분의 경우 고혈압이 위험인자로 도사리고 있다. 성인의 경우 고혈압은 수축기혈압(최고혈압)이 140mmHg이상, 이완기혈압(최저혈압) 이 90mmHg이상인 경우로 정의하며 최고혈압이나 최저혈압 중 어느 것이 높더라도 고혈압이라 부른다. 수축기혈압이란 심장이 수축하며 혈액을 혈관 내로 짜낼 때의 혈압이며 이완기혈압은 심장이 수축을 풀 때 혈관에 유지되는 압력이다.

수축기혈압만 높고 이완기혈압은 정상인 경우가 있는데 이때를 수축기고혈압이라 한다. 수축기혈압은 정상인 반면, 이완기혈압만이 높을 때를 이완기고혈압이라고 한다. 전에는 고혈압의 합병증이 이완기혈압에 달려 있다고 생각하고 치료의 초점을 이완기혈압에 잡았으나 근래에 들어 수축기혈압도 이완기혈압에 못지않게 중요함이 알려져 고혈압 치료의 목표를 정하는데 수축기나 이완기혈압 모두를 중요시하고 있다.
고협압의분류
혈압수준 수축기혈압(mmHg) 이완기혈압(mmHg)
정상 <120(그리고) <80
고혈압전단계 120~139(또는) 80~89
고혈압    
제1기 고혈압 140~159(또는) 90~99
제2기 고혈압 >160(또는) >>100
'무언의 살인자' 고혈압
고혈압의 원인은 95%이상이 본태성(일차성)고혈압이며 그 원인이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이 병의 발생에는 유전적 요소가 많이 관여된다. 그러나 환경적 요소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이차성 고혈압은 부신의 수질 또는 피질에서 지나치게 많은 호르몬이 분비된다든지 뇌하수체, 갑상선 또는 부갑상선 항진등 내분비 계통의 병으로 오며 콩팥에 들어가는 혈관인 신동맥이 좁아져 고혈압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이차성 고혈압의 수는 본태성 고혈압에 비하여 적으나 원인을 제거하면 완치할 수 있으므로 고혈압이 처음으로 진단될 때 항상 이 가능성을 생각하여 오진이 없도록 해야 한다. 고혈압은 그 정도가 아주 심하거나 합병증이 생기지 않는 한 증세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중대한 합병증이 처음의 증세로 나타나는 수가 많다. 증세가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치료를 게을리하며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혈관에 변화가 쌓이고 표적기관에 합병증이 일어나도록 시간을 주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고혈압을 무언의 살인자라고 부른다.

고혈압의 합병증으로 손상을 받는 대표적인 기관은 뇌, 심장, 콩팥, 대동맥 및 말초혈관을 들 수 있다. 뇌경색과 뇌출혈은 가장 많은 합병증으로 심한 경우 치명적이거나 생명은 건지더라도 불구가 되는 수가 많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합병증이다. 심장에 대한 합병증은 좌심실비대와 혈역학적 변동에 따른 심부전증을 들 수 있고, 관상동맥경화증을 일으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병을 일으키고 있다. 혈압은 콩팥과는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 고혈압은 콩팥기능을 떨어뜨려 신부전증을 일으키고 신부전증 자체는 다시 고혈압을 더 조장시켜 악순환을 거듭하게 된다.

현재 말기 신장병으로 인공신장을 사용하고 있는 환자의 3분의 1 정도는 직접 간접으로 고혈압이 원인이었으며, 노인층으로 갈수록 고혈압 때문에 신부전이 생겨 인공신장을 사용하게 되는 비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고혈압이 대동맥에 일으키는 합병증으로는 대동맥류와 대동맥박리를 들 수 있다. 대동맥박리는 대동맥의 벽이 찢어지며 혈관의 벽을 따라 병변이 진행하는 위험한 병으로 현재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동맥류는 크기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터지거나 혈전을 형성하는 위험성을 갖고 있다. 그 외 다리의 말초혈관이나 경동맥에 오는 동맥경화성 협착도 고혈압과 연관이 크다.
고협압과 합병증
혈압수준 질병
  • 뇌졸중(중풍)
심장
  • 관상동맥 경화증(협심증, 심근경색)
  • 좌심실 비대(심부전)
콩팥(신장)
  • 신부전
대동맥
  • 대동맥류
  • 대동맥 박리
말초혈관
  • 경동맥 협착(좁아짐)
  • 하지동맥 협착
치료하면 합병증 막는다
고혈압의 치료는 합병증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있다. 그러면 실제로 고혈압을 치료하면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나온다. 현재까지의 많은 연구들이 고혈압을 적절히 치료하면 모든 형태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고, 한번 실수로 표적기관에 합병증을 받은 환자의 경우에도 치료를 적극적으로 하게 되면 재발을 막을 수 있음이 확인 되었다.

고혈압의 치료에는 섭생요법과 약물요법이 있다. 섭생요법은 주로 소금이 적은 음식, 체중조절, 적당한 운동, 금연과 절주가 기본이 된다. 섭생요법으로도 혈압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약물요법을 시행하게 된다. 병원을 찾아오는 고혈압 환자들을 예로 들면 3분의 1은 최근 우연한 기회에 혈압을 재어 보고 혈압이 높다는 것을 알게 된 환자들이고, 3분의 1은 몇 년 전부터 혈압이 높음을 알았으나 아무 증상이 없어 약물치료를 하지 않던 환자들이고, 나머지 3분의 1은 약물치료를 하다가 부작용이 나타나 약을 쓰지 않다가 온 환자이다. 환자 중의 많은 분들이 혈압치료를 하지 않는 이유를 물어보면 한번 사용하면 평생을 사용하여야 되기 때문에 부담이 커서 시작을 못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의 잘못이 있다고 본다.

첫째 치료를 하지 않으면 무서운 합병증이 온다는 것을 알면서도 약물 치료의 부담 때문에 치료를 기피하는 것은 현명한 판단이 아니다. 둘째로 약물치료는 한번 시작하면 변동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잘못이다. 혈압조절이 안정화되면 치료약을 감량할 수 있으며, 때로는 섭생요법을 철저히 함으로써 약물치료 없이도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보건진료소 TEL : 02-970-7119
Copyright (c) 2012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
대학/대학원
공과대학공과대학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기계·자동차공학과기계공학 프로그램자동차공학 프로그램안전공학과신소재공학과건설시스템공학과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건축학부-건축학전공건축기계설비공학과정보통신대학정보통신대학전기정보공학과컴퓨터공학과스마트ICT융합공학과전자공학과전자IT미디어공학과전자공학 프로그램IT미디어공학프로그램에너지바이오대학에너지바이오대학화공생명공학과환경공학과식품공학과정밀화학과스포츠과학과안경광학과조형대학조형대학디자인학과산업디자인전공시각디자인전공도예학과금속공예디자인학과조형예술학과인문사회대학인문사회대학행정학과영어영문학과문예창작학과외국어교육기술경영융합대학기술경영융합대학산업공학과(산업정보시스템전공)산업공학과(ITM전공)MSDE학과경영학과(경영학전공)경영학과(글로벌테크노경영전공)데이터사이언스학과미래융합대학미래융합대학융합기계공학과건설환경융합공학과헬스피트니스학과문화예술학과영어과벤처경영학과정보통신융합공학과창의융합대학창의융합대학인공지능응용학과지능형반도체공학과미래에너지융합학과교양대학교양대학국제대학국제대학대학원일반대학원산업대학원주택도시대학원철도전문대학원IT 정책전문대학원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국방융합과학대학원SeoulTech-KIRAMS의과학대학원